의료행정소송 대응방안
이의신청, 행정심판을 통하여 구제받을 수 있으나, 이의신청 및 행정심판의 경우에는 해당 행정청이 다시 행정처분의 위법성을 심사하여 실질적으로 이를 통하여 구제받는 경우는 그다지 흔치 않습니다.
따라서 이의신청 또는 행정심판으로 구제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처분이 있었던 날부터 1년 이내에 취소소송 등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처분의 위법성을 적극 다투어야 합니다. (행정심판을 제기한 경우 제소기간은 행정심판의 재결을 기준으로 90일, 1년의 기간이 기산됩니다)
행정소송의 판결을 기다려 처분의 효력을 다투기에는 급박한 사정이 있다 할 것이므로, 집행정지신청을 통하여 행정처분의 효력을 행정소송 판결선고 시까지 정지시킨 후 행정소송절차를 진행해야 병원의 업무를 유지하면서 행정청의 처분을 다툴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 | 의료광고 관련 법령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0 |
12 | 환자유인행위 위반 관련 법령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1 |
11 | 무면허 의료행위 관련 법령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7 |
10 | 의료기관 개설위반 관련 법령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2 |
9 | 대표적인 의료법위반인 사무장병원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3 |
» | 의료행정소송 발생한 경우 적절한 대응방법을 찾아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6 |
7 | 업무정지와 진료제한에 해당하는 법조항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9 |
6 | 면허취소와 정지에 해당하는 법조항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8 |
5 | 국민건강보험법에 의거하여 부당이득을 환수해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0 |
4 |
맥브라이드 표는 무엇인가요?
![]() | admin | 2025.09.08 | 12 |
3 | 의료분쟁해결이란? | admin | 2025.09.08 | 12 |
2 | 의료사고 대처요령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 admin | 2025.09.08 | 14 |
1 | 의료사건은 어떤게 해당되나요? | admin | 2025.09.08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