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대처가 필요한 이유
의료사고는 환자 및 가족들에게 신체적·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야기하게 되므로, 한 번 발생하면 어찌 할지 몰라 당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의료사고는 초기에 어떻게 대응하고 얼마나 자료를 수집하였는지가 매우 중요하고, 향후 이어지는 의료소송 등의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따라서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므로 아래 내용을 잘 읽으시고 침착하게 대처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의료사고 발생시 반드시 해야 할 3가지
병원 측에서 정당한 사본 발급을 거부할 경우
거절하는 병원을 떠나지 말고 그 자리에서,
① 거절하는 병원을 떠나지 말고 그 자리에서 보건복지가족부의 “보건의료정책실”에 신고하시거나, 관할보건소에 신고하세요.
* 보건복지콜센터 :129 , 당직실(공휴일, 야간) : 044-202-2118
② 관할 경찰서에 의료법 위반으로 고소하세요. 추가적으로 증거보전신청, 민사소송 과정에서 임의제출 요구, 문서제출명령신청, 소비자보호원의 중재신청 등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사고가 발생한 경우 단 1분의 차이로 사람의 생명이 좌지우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의료인이 작성한 진료기록을 조작할 우려도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 측에서 판단할 수 있는 상세한 사고의 진행 과정에 대한 경위서는 소송에서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의료사고라고 판단되면 환자의 입장에서 최대한의 기억력을 동원하여 사고 경위서를 작성하여 두어야 합니다.
시술이나 수술을 누가 했는지?
응급처치나 수술이 언제 이루어졌는지?
사고가 병원의 어디에서 발생했는지?
누구의 책임 하의 구역인지?
어떤 시술을 어떤 방법으로 시행했는지? (수술, 검사, 수혈, 예방접종, 투약, 분만, 환자관리, 처치, 진단과정 등) 등을
6하원칙(누가/언제/어디서/무엇을/어떻게/왜)에 따라 상세히 기록해 두시면,
나중에 의료사고가 문제될 경우 누구에게 잘못이 있는지 조사·추적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 | 의료사건은 어떤게 해당되나요? | admin | 2025.09.08 | 15 |
» | 의료사고 대처요령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 admin | 2025.09.08 | 14 |
11 | 의료분쟁해결이란? | admin | 2025.09.08 | 12 |
10 |
맥브라이드 표는 무엇인가요?
![]() | admin | 2025.09.08 | 12 |
9 | 국민건강보험법에 의거하여 부당이득을 환수해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0 |
8 | 면허취소와 정지에 해당하는 법조항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8 |
7 | 업무정지와 진료제한에 해당하는 법조항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9 |
6 | 의료행정소송 발생한 경우 적절한 대응방법을 찾아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6 |
5 | 대표적인 의료법위반인 사무장병원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3 |
4 | 의료기관 개설위반 관련 법령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2 |
3 | 무면허 의료행위 관련 법령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7 |
2 | 환자유인행위 위반 관련 법령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1 |
1 | 의료광고 관련 법령을 알려드립니다. | admin | 2025.09.08 | 10 |